전체 글 295

월가아재의 제2라운드 투자 수업을 읽고...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은 투자 공부를 시작하는 모든 사람이 읽어봤으면 하는 좋은 책이다. 월가아재는 유튜브로도 잘 알고 있었지만 역시 월가 출신은 다른지 공부의 깊이가 다르고 생각하는 방식이 비범하다고 느껴졌다. 투자 입문서이기 때문에 사실 이걸 보고 투자를 바로 시작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다. 하지만 책의 취지에 맞게, 투자를 시작한다면 한 번쯤은 생각해야 하는 주제와 질문을 던지고 저자가 생각하는 결론에 대해 설명한다. 무엇보다 좋은 점은 주장에 항상 근거가 있다는 점이다. 다른 별로인 책들을 보면 자기 경험이 근거의 전부인 경우를 많이 봤는데 여기서는 애초에 뭘 해라! 이런 내용이 많지도 않지만 있을 때는 통계 데이터를 통해 납득시켜 주는 점이 좋았다. 투자 방식에 대한 이야기도 좋았지만 투자를 ..

개인 2023.06.27

인생 첫 인턴쉽 @ Finimize

Abriele 덕분에 이 회사에 지원할 수 있게 되었고 최종 합격까지 해서 6월 12일부터 9월 22일까지 Full Stack Engineer Intern으로 일할 예정이다. 내가 그렇게 관심 없다고 했던 분야로 결국에는 직장을 구하다니... 참 인생 모르는 일이다. 고등학교 시절 우주에서 빅뱅이 일어났던 것 마냥 매주마다 새로운 기술이 업데이트되던 시절, 관심은 없어도 알아는 둬야겠다는 마음으로 아주 드문드문 공부했던 게 결국엔 내가 인턴쉽을 구할 수 있게 해 주었다. 2학년 끝나는 시점에 인턴쉽 하나라도 못 구하면 어떡하나 사실 걱정 아닌 걱정이 되었다. 다행히 한 곳에서라도 나를 써준다는 사실에 감사하고 잘해서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으면 좋겠다. 앞으로 방학 기간 동안에 해야 할 게 몇 가지 있다..

개인 2023.06.12

공감되는 이창용 총재의 단호한 발언 및 우리나라의 근본적인 문제

https://youtu.be/uG4ctea-Fyg 우리나라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내 생각에 이것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국민의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수준은 교육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 어디가 문제라고 생각하는가? 나는 토론을 할 수 없는, 토론을 피하는, 정답 찾기 기계를 만드는 수업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국어, 영어, 수학, 어떤 과목을 공부하든지 암기가 기본이다. 암기가 나쁘다는 말을 하고자 하는 게 아니다. 하지만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게 암기이고 결국엔 암기만 남는 게 문제라고 생각한다.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중간, 기말고사가 암기한 걸 물어보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국어의 경우 난 평가 방식부터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문학..

개인 2023.05.31

UCL 2학년 끝난 지금

한동안 블로그 글을 안 썼다. 예전만큼 글쓰기에 흥미를 잃은 것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쓸 글이 없었다. 나에게 UCL 2학년 생활은 많이 벅찼다. 학교 생활을 하는 것만으로도 1년이 빠르게 지나갔고 내가 즐긴 여가생활은 책 읽기와 헬스장에서 운동하기 뿐이었다. 물론 다른 친구들을 보니 그 시간조차 짬을 내서 여행을 즐기던데 그저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학교 생활에 대해 얘기해 보자면, 난 이제야 학교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어설프게나마 체득한 느낌이다. 강의력 떨어지는 교수님의 수업을 듣는 게 얼마나 시간 낭비인지, 차라리 책으로 독학하는 게 더 체계적이고 완전하다고 생각이 들 정도다. UCL만 이런 것인지, 영국의 다른 좋은 대학 (ICL이나 Oxbridge)들도 그런지 알 수는 없지만 수업의 가치..

학업/UCL 2023.05.21

개인화

인생을 살면서 내가 좋아하는 게 무엇이고 내가 싫어하는 게 무엇인지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많은 기업들이 광고의 개인화를 위해 나의 개인정보와 갖은 도구를 사용해 개인화를 시도하는데 내 몸의 주체인 나는 그런 것에 소홀하지 않았나 되돌아본다. 나를 알아가는 과정, 개인화, 성숙이라는 여러 말로 치환해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면서 이 단어는 마음속 깊이 새겨둬야 할 단어가 아닌가 싶다. 단일화된 세상에서 벗어나 개인 맞춤 (비스포크)이나 개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것이 자연스럽고 인정받는 시기가 되었기 때문에 더욱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아는 것이 중요한 때이다. 나는 천상 워커홀릭은 아닌 것 같다. 일만 하다 보면 여기서 도망치고 싶고 정말 좋아하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중용..

개인 2023.03.21

[프로그래머스] 연속된 수의 합

가장 단순하게는 num이 짝수와 홀수일 때를 나눠서 다르게 for문을 작성해 주면 되는데, 다른 분들의 정답을 보니 더 멋진 방식이 있어서 정리하고자 한다. total은 수열의 합으로 표현하면 \(\Sigma_{k=a}^{a+n-1}{k}=A\)이다. 어떤 a부터 시작해서 a + num - 1까지의 합을 구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의 핵심은 이 a를 어떻게 구하는 지로 바뀌게 된다. 방법은 주어진 num을 써먹는 것이다. 솔직히 난 이 식을 어떻게 구했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전개를 통해 증명은 할 수 있으니 이걸 소개하려고 한다. a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A-\frac{n(n+1)}{2})/n+1\). 증명의 경우 A를 a부터 a+num-1의 합 대신, (1부터 i+num-1의 합) -..

온라인저지 2023.03.19

내 인생의 지향점

내 생각은 유학 생활을 하면서 더 견고해졌는데 다음과 같다. 고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수급처를 유지 같이 성장하고 응원해줄 사람이 주변에 있는 것 가족을 우선시하는 것 남에게 비웃지 않을만한 사람이 되는 것 첫째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당연한 소리이긴 하다. 여기에는 내가 하고 싶은 일 또는 나의 커리어에 도움이 될만한 일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을 얘기한다. 몽상가적이고 비현실적인 소리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난 그렇게 살아왔다. 현재는 과외를 하면서 정말 쥐뿔만 한 돈을 매달 벌고 있긴 한데 작지만 고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건 마음에 안정감을 주더라. 아직 직장 생활도 안 해봤고 큰돈도 만져본 적이 없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 둘째는 고등학교 때와 유학 생활을 하면서 느낀 건데 주변에 어떤 사람이 ..

개인 2022.11.15

핵심 기술은 쉽게 공개되지 않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느정도 깊이 있는 내용이 나오기 시작하면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의 폭은 확 줄어드는 느낌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 나는 VS Code와 같은 코드 에디터를 Rust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려고 자료를 수집하고 있는데, 한국어로 구글에 검색해보면 HTML Rich editor 관련 포스팅 밖에 나오지 않는다. 그나마 찾고 찾은 게 C#으로 구현한 엄청 간단한 코드 하이라이터였다. 영어로 검색을 해보면 상대적으로 나오는 편이긴 하다. 그렇다고 해서 실제 내부 구현을 어떻게 하는 지에 대한 자료보다는 Scintilla와 같은 라이브러리 (?)를 검색 결과로 보여준다는 정도이다. 구현 방법이 궁금하면 대부분 강의를 찾아보거나 (이 부분도 이제 더 이상 유튜브에서 바로 찾기는 어렵다)..

개인 2022.08.04

UCL Computer Science Year 1 Module Review

ENGF0001: Engineering Challenges 난이도: ⭑⭑⭑✩✩ 구성 Challenge 1: 거의 초반 3~4주를 완전 의미 없게 보내는데, 결국에는 Embedded Processor, IoT, ESP32와 관련해서 프레젠테이션 비디오 녹화해서 업로드하면 된다. 나도 3일 정도 걸려서 영상을 만들었기에 거의 한 달을 소비할 필요 자체가 없었다. 1학기 초반부터 UCL CS의 부실함이 보였던 부분. 거기에 Peer Review이기 때문에 진짜 이상한 애들만 걸리지 않으면 점수도 못해도 80 이상은 받을 수 있는 것 같다. Challenge 2: EEE 애들이랑 같이 팀 프로젝트로 우간다에 Bioreactor를 설치했다고 가정했을 때 reactor controller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평..

학업/UCL 2022.06.25